Home 고객센터 공지사항
 
제   목  
소와 반려견 함께 기르는 농가…“이런 점 주의하세요!”
[ 2017-04-14 16:32:34 ]
글쓴이  
운영자
조회수: 2273        

1.jpg

 

개 분변으로 전파되는 네오스포라증… 소 유산 위험 5배 높아

 

농촌진흥청(청장 정황근)은 소와 반려동물을 함께 기르는 농가라면 반려동물이 소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소의 유사산 원인 중 하나인 네오스포라증은 네오스포라원충(Neospora caninum)에 의한 질병으로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반려동물의 축사 내 접근을 통해 전파될 수 있다. 개의 분변에 오염된 사료나 물을 소가 섭취하는 것이 주된 원인이지만, 고양이와 야생동물이 개 분변에 오염된 뒤 소에게 전파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소에서 나타나는 네오스포라증의 주요 증상은 유산과 사산이다.

 

선천적으로 네오스포라증에 감염된 송아지는 신경증상이나 잘 서지 못하고(기립불능), 발육이 더딜 수 있으나 주로 증상 없이 성장해 유산을 반복하게 된다.

 

실제로 네오스포라에 대해 항체가 형성된 젖소(항체 양성)는 항체 음성 젖소와 비교해 유산 위험이 5.3배 또는 6.1배3)까지 높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국내에서는 국립축산과학원이 한우 암소 232마리 집단에 대해 조사한 결과, 네오스포라의 항체 양성인 소 13마리 중 50% 이상인 7마리에서 유산이 관찰됐다.

 

네오스포라증은 감염 소와 접촉한 소가 걸릴 확률은 거의 없지만, 임신 중인 어미에서 송아지로 수직전파 되는데다 아직까지 백신이나 치료법이 없으므로 예방이 최선이다.

 

농장에서는 유산된 소의 태아, 부산물, 태반을 개가 섭취하지 못하게 하고, 개의 분변 속 충란4)으로 소가 먹는 사료나 물이 오염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네오스포라 항체 양성인 소는 번식에 사용하지 않는다. 시·도에 따라 가축질병검사기관에서 항체 형성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가축유전자원센터 김찬란 수의연구사는 “높은 유산율이 관찰되는 축산농가에서는 반려동물과 가축이 함께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도 유산율을 낮추는 방법일 수 있다.”라고 말했다.




1/4, 총 게시물 : 61
번호 제 목 작성자 올린날짜 조회수
작년 소 판정두수 1.3% 감소·돼지 3.8% 증가 운영자 2019-04-01 2154
무허가축사 적법화, 여전히 실적 ‘저조’ 운영자 2019-04-01 2089
약세 전망 美 돈가 급등 운영자 2019-04-01 1974
무더위에 지친 한우, 육질‧체중 감소 주의 운영자 2018-08-14 2199
“젖소~ 안개 분무 시설로 더위 이겼소” 운영자 2018-08-14 2058
암퇘지·수퇘지 따로 기르면 사료비 줄고 육질 좋아 운영자 2018-08-14 1678
김영란법 농축수산물 제외 재추진 운영자 2018-06-18 1690
“올 봄 구제역, 분뇨·가축 운반차량 통해 전파” 운영자 2018-06-18 2051
산란계 사육면적 넓힌다···7월부터, 마리당 0.05㎡→0.075㎡로 운영자 2018-02-27 1944
사육환경·질병제어 위한 전천후 계사 필요 운영자 2018-02-27 1781
구제역 확인 검사 축소 운영자 2018-02-27 1705
무허가축사 적법화 기한연장 법으로 명시 운영자 2018-02-27 1725
‘동물복지 축산업’ 개념 정립부터 운영자 2017-10-10 1762
환절기, 모돈 온도·영양 관리에 집중 운영자 2017-10-10 1907
전력 사용량 많은 여름철, 축사 정전 주의 운영자 2017-08-25 1969
축산 체질 바꿀 근본대책 마련하라 운영자 2017-08-25 1961
‘축산물등급판정신청서’ 온라인 처리 실시 운영자 2017-08-18 1872
'외국인 숙련기능 점수제 비자’ 1일부터 시행 운영자 2017-08-18 2020
여름철 고병원성 AI 발생 대응책은 운영자 2017-07-17 1906
“여름철 돼지 살모넬라 감염 주의해야” 운영자 2017-07-17 2234
1   2   3   4   끝 페이지
이름 제목 내용
 
 
 
   
아이티포유홈페이지